영문홈페이지 가기 아이콘 ENG
  • SNS
자동 로그아웃 안내
자동 로그아웃 남은시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5분 후 자동으로 로그아웃 됩니다.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려면 로그인 연장하기 버튼을 클릭하여 주세요.

로그인 시간을 연장하시겠습니까?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추천키워드

    JBNU News

    우리대학, 전 세계 소 탄소배출량 산정 ‘K-모델’ 첫 개발

    • 홍보실
    • 2025-08-27
    • 조회수 237

    전북대학교 이학교 교수(동물생명공학과) 연구팀이 전 세계 204개국, 약 13억 마리 소의 탄소배출량을 개체 단위로 산정할 수 있는 혁신적 모델을 개발해 학계와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 모델은 농식품 부문이 1,260조 원 규모에 달하는 세계 탄소배출권 거래시장(ETS)에 참여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며, 국제 저탄소 축산물 인증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는 UN 산하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의 방법론과 FAO(유엔식량농업기구)의 60년간 축적된 공공 데이터를 바탕으로 생산성과 배출량의 상관관계를 과학적으로 규명했다.

     

    특히 소의 체중, 출하 연령 등 기본적인 데이터만으로도 배출량 계산이 가능해 고가의 장비 없이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이다.

     

    이러한 접근법은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활용할 수 있어 기후변화 대응에 있어 경제적 격차로 인한 불평등 해소에도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 결과는 환경과학 분야 권위 학술지인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IF 10.0, 상위 6%)』최신호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새 모델은 농가에 생산성 향상과 탄소저감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길을 열어주며, 저탄소 인증의 가장 큰 걸림돌이었던 고비용·복잡한 데이터 수집 문제를 해결한다.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8%를 차지하는 소고기 산업의 탄소 감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 파급력이 크다.

     

    한국은 이미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한우 사육 단계의 탄소배출량을 기준으로 세계 최초 ‘저탄소 축산물(한우)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다. 반면 EU, 미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저탄소 인증제 도입을 추진 중이지만, 국가 차원의 공식 산정 방법론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그동안 농업 부문은 배출량 산정의 한계로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배제돼 왔으나, 이번 성과는 농업 부문이 ETS 참여를 확대하고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전북대 연구팀은 이미 CES 2023에서 가축 탄소 모니터링 및 탄소 크레딧 공유 플랫폼을 공개해 주목받았으며, CES 2025에서는 이번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국제 표준화를 위한 업그레이드 버전을 선보였다. 또한, 전북특별자치도 축산연구소와 저탄소 축군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최초로 지역 단위 농가에서 저탄소 우량 암소 조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제1저자인 허재영 교수는 “이른바 ‘K-모델’은 누구나 접근 가능한 데이터로 탄소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어, 전 세계적으로 측정의 보편성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이를 통해 더 많은 국가가 기후변화 대응에 동참할 수 있는 공평한 기반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이학교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이 세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국제 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이 모델을 확산시키고 각국 축산업의 탄소저감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미리보기

    최종수정일
    2024-11-19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만족도조사결과 (참여인원:0명)

    요약설명보기

    만족도 조사에 참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페이지의 만족도 투표는 총 0명이 참여하였으며, 현재 "매우만족"이 0표로 가장 많은 표를 받았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이용자들은 현 페이지에 대해 "매우만족" 하고 있습니다.

    닫기

    • 매우만족
      0표
    • 만족
      0표
    • 보통
      0표
    • 불만족
      0표
    • 매우불만족
      0표

    닫기

    Loading